카사모정담란

설사와 관련된 가설 한가지...^^*

박진영 9 535 2005.09.28 16:38
요새 저희 집에는 글로스터 중에 한두마리가 가끔씩 설사를 하네요.
환절기라서 그런지...별도로 분리해서 신경 좀 써주면 금방 괜찮아지기는 하는데...

저희 집에서는 글로스터 설사하는 놈이 보이는 빈도가 곱슬에 비해서 훨씬 높은 것 같습니다.
사실 곱슬이들은 설사하는 놈들이 요새 전혀 없는데...글로스터는 가끔 보이니...

똑같은 먹이를 먹고 왜 한쪽 놈들은 멀쩡하고...다른 쪽 놈들은 설사하는 놈이 가끔 있는지...
먹이와 관련된 것 같기는 하지만....아직까지 알 수는 없고...정말 궁금합니다.ㅎㅎㅎ

눈썰미 좋고 새 잘 키우기로 소문(?)난 제 마눌님은...
냉동실에 있던 에그푸드를 주는 것이...
즉 아이들이 여름에 찬 아이스크림 먹고 배탈나는 것과 같은 원리로...
설사를 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가설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새들이 야생에서 평생을 살아도...
이렇게 찬 음식을 먹을 일이 없으니...
그럴 법 한 것 같기도 하고...아닌 것 같기도 하고...ㅎㅎㅎ

저는 가끔 한가로운 주말 오후에 집사람과 이런 실없는 얘기하면서 시간을 보냅니다.ㅋㅋㅋ

Comments

손용락 2005.09.28 17:50
  그쪽 가설은 그러하고...........

이쪽 가설은 뭔고 하니..........

마리수에 비례한 같은 량의 에그푸드를 덩치 큰 곱슬에게도 주고
덩치 작고 체중이 적게 나가는 글로스터에게도 주니
어떤 넘은 포만이요, 어떤 넘은 과식이 아닌가 하고....
방금 외근 나갔다 미아리 거쳐서 들어 왔기 땜에....ㅋ

사이펀 물통의 폐단은 물이 수직으로 서있어서
일반 큰 모이통/목욕통에 비해 전체 물량도 적고
순환도 잘 안되 물 먹는 곳에 먹이 찌꺼기가 조금 들어가면
(카들이 입을 행구어서..) 아래 부분만 물이 쉽게
상해 버리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사이펀 물통 쓰면서 하루에 한번 안갈아주면
자아이 약한 몇몇 넘들은 약한 설사끼가 있고
엉덩이가 지저분해지더라는 단편적 경험입니다요.

누가 덧글 안단다고 시비를 걸어와서
되도 안한 헛소리로......
권영우 2005.09.28 17:51
  정말 그럴듯한 가설이네요. ^-^
오늘 소풍갔다가 학급아이들하고 햄버거세트, 프라이트 치킨 등으로 점심을 먹고, 함께간 선생님과 팥빙수를 먹었답니다. 40대 후반부터는 너무 찬 것을 먹으면 좋지 않더군요.
혹시 설사하는 놈들이 장이 약하거나 나이가 들어서?......  황당한 가설이죠?
김은실 2005.09.28 18:30
  나이가 들었다면 몇년이되야 들었다 할수있나요?
3년부터,,????
윤성일 2005.09.28 18:46
  걍. 도태시키삼..

appaloosa..
박진영 2005.09.28 21:02
  옳으신 말씀입니다.
저희 집은 에그푸드를 많이 주는 편이 아니라서 그 쪽은 괜찮은 것 같지만..
저도 물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습니다.
글로스터 물통이 곱슬이 물통보다 더 지저분합니다.ㅎㅎ

그렇지만 제가 자주 갈아주지 못하는 입장에서...
집사람에게 "자주 갈아라"라는 무례한 이야기를 할 처지도 아니고...ㅎㅎㅎ

"장이 약한 놈 가설"도 흥미롭습니다.
사람에 따라 장의 상태가 천차만별이니...
새의 경우도 그럴 것 같습니다.

도태요?!
윤님~ 성격 참 급하시네요~
국수도 좀 급하게 추진하시는게...
정형숙 2005.09.29 00:11
  울집 아그덜도 에그푸드 언제나 냉동실에보관하며 주는디도 설사 안하는데요...

장이 선천적으로 약하던지! 나이가 들었다는 의견이 맞는거 같기도 한거 같는 느낌이 팍팍 옵니다!

카나리아 호금조 등 모든 새들이 한번도 설사하는 법이없으나 ..

울 미성이 한마리가 언제나 거시기가 지져분 할때가 많거던요..
조룡 2005.09.29 11:53
  제가 예전에 테스트를 하여 보았습니다.

설사에 세균성,소화불량성, 기생충성있다고합니다.
결론적으로
세가지 중에 세균성과 소화불량성에 대하여 실험하였고
실험한 카니리중 90%이상이 소화불량성 설사약에 효과를 보이고
나머지가 세균성 설사에 효과를 보였습니다.

설사의 정도.
심한 물설사의 경우 세균성으로 추정되며
물기가 조금 많은 변에 대해서는 소화불량성으로 보시면 좋을듯합니다.
김두호 2005.09.29 15:56
  물에서 설사가 오는것으로 봅니다.
야채를 줄때에도 조심을 해야 하지 않을까요?
홍지연 2005.09.30 11:17
  제경우는, 야채를 과도하게(?) 주면 설사하던데요...ㅡㅡ
매일 목욕물을 갈아줄때는 설사끼가 없었다가,
직사각형 물병(급수기라해서 조그맣고 직사각형인 물병있잖아요?) 의 물을 주니까,
오히려 설사가 많아지는듯 하던데..
윗분이 불이 순환이 안되고, 금방 상할수 있다는 얘기를 하셨는데,
그게 마음에 팍~~!! 와닿는데요. ^^;;
글이 없습니다.
접속통계
  • 현재 접속자 234 명
  • 오늘 방문자 6,318 명
  • 어제 방문자 9,938 명
  • 최대 방문자 10,152 명
  • 전체 방문자 1,545,712 명
  • 전체 게시물 26,977 개
  • 전체 댓글수 179,323 개
  • 전체 회원수 1,38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