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모정담란

색 유전 쌍잡기에 대해 지금까지 공부한 것을 올립니다.

카나리아를 처음 기르려고 생각했을 때는
노란색이나 오렌지색, 붉은색 등 이쁜 것만 사면 되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종류도 다양하고,
체형도 다르고,
색깔도 여러가지고,
유전에 따라 또 다르고,
쌍잡기도 다르고...
너무 복잡합니다.

그래서 몇 가지 자료를 가지고 공부를 했는데
나름대로 제가 이해한 대로 제가 이해하기 쉽게 다시 정리했습니다.

고수분들이 보시기엔 오히려 더 헷갈릴 수도 있겠지만
제가 정리한 것이 맞는 것인지 확인도 할 겸
올려 봅니다.

저는 한글이나 워드로 작성하기 보다는 엑셀로 정리하기를 좋아합니다.
매우 편리한 기능이 많기 때문입니다.

엑셀 파일로 올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사이즈가 600 정도 되는데 300 이상은 올라가지 않아서 사진은 뺐습니다.

Comments

허은희 2009.07.31 12:26
  저같은 초보를 위한 쉬운 해석이네요..감사감사요..ㅎㅎ
서장호 2009.07.31 13:06
  ㅎㅎ.. 참으로 대단하십니다..^^
정말 깔끔하니 정리하셨네요..
사진을 옵티마이징해도 안되던가요..?
가능할듯 한데..^^;;

아무튼.. 여러 다른 회원분들께 도움될듯 하네요..^^
수고하셨습니다.
윤완섭 2009.07.31 14:03
  ACDSee가 있었는데 없앴습니다.
다시 깔아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ㅎ.
윤완섭 2009.07.31 14:57
  사진 넣어서 올렸습니다.
늘 사용하던 ACDSee가 아니라 만족스럽지는 못합니다.
서장호 2009.07.31 15:25
  너무 수고하셧습니다..
사진을 넣으니 한결 이해하기가 쉬워지겠습니다..^^
ㅎㅎ...
날도 더운데 열공하시느라, 열받으신건 아니신지..^^;;
윤완섭 2009.07.31 15:44
  bmp파일로 되어 잇는 것을 넣었더니 600K 가까이 나와 업로드가 되지 않아서
JPG로 바꾼 후 줄여서 올리니까 이번엔 화질이 좋지 않습니다.
시간이 있으면 더 조절할텐데...

서장호님은 다 아시는 내용이라
새삼스럽게 보실 필요가 없겠죠? ㅎ
서장호 2009.07.31 15:58
  ㅎㅎ.. 전 돌아서면 까먹습니다..ㅜㅜ
그래서 익숙해질때까지..
잊으면 또 찾아보고, 또 잊으면 또 찾아보고..^^
그럽니다..^^
윤완섭 2009.07.31 16:29
  저도 그렇네요.
올리고 난 후 수정하기 위해 다시 보니 또 새로운 내용이 보입니다.
제가 적어 놓고도 제가 적은 것인지 꺄우뚱합니다...ㅠㅠ
손용락 2009.07.31 21:48
  정리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몇가지 의문이 있습니다.

1. 얼룩
얼룩이는 우열의 법칙을 따르지 않습니다.
Dilution, Random & Probability 로 알고 있슴다.

2. 그린, 블루, 시나몬, 폰, 오팔
첫번째 표 두번째 칸 : Surface Brown은 시나몬입니다.
숨어있는 블랙은 Recessive Carrier는 아니나 사람 눈에 잘 안보일 뿐입니다.
세번째 표 두번 째 칸 : Suface Brown은 Fawn이 아닌가요?

3. 유복/무복
Intensive = Non-frost = Yellow type = Hard Feather
Frost = Buff = Soft feather

Intensive, Frost, Non-frost : Color Canary에 주로 사용
Buff, Hard Feather, Soft feather :그외 모든 품종에 사용

복륜, 암수와 건강의 관계는 국내 번식업자 일부가 막연히 가지고 있는 선입관이
카사모에서 강력하게 표현되므로써 학술적 이론 수준으로 정립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꼭 흰색 새는 약하다, 특히 흰얼룩이는 약하다와 머피의 법칙과 비슷한게 아닌가...
서양쪽 자료에서는 본적이 없어서리...

무복-무복이 육추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혹 Color Canary에서
계속하여 무복-무복의 쌍잡기를 하여 체형이 외소해지고 건강이 나빠지고
털이 자나치게 타이트하여져 포란 육추에 장애가 되어서 생겨난 얘기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무복은 유전적으로는 Type Canary에서 Hard Feather와 전혀 다를바 없으며
건강하고 좋은 Hard Feather 암컷은 육추 능력이 떨어진다고 할 수 없습니다.
또한 모질이 풍성한 보더나 크레스트에 어떤 개체는 눈으로
Hard Feather / Soft feather 알아맞추기가 쉽지 않습니다.
털이 풍성하다고 모두 Soft feather가 아니기도 하니까요.

여러분께서 빨강, 빨강 너무 찾으니까 번식 업자들이 진한 빨강 만들려고 
무복-무복 쌍잡기를 넘 오래 해서 새들이 엉망이 된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왕특 같이...ㅎㅎ
윤완섭 2009.07.31 23:50
  1번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ㅎ.

2번에서 첫 번째와 세 번째 표의 윗 두 줄 Surface는 각각이 아니라 두 색이 섞여있다는 뜻입니다.
즉, Surface의 색에 검은색과 브라운이 같이 있다는 뜻입니다.
오팔을 넣기 전에는 한 층으로 표시했는데
오팔을 넣으면서 같이 표현하고자 해서...
제가 오해하도록 표를 만들었습니다^^.

3번도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용철 2009.08.01 12:25
  올해 무복-무복쌍에서 너무나 보기 좋은 풍체 당당한 체형을 가진 종조감이 몇 마리 나왔습니다. 물론 제 눈에 안경이지만...내년에 크게 기대를 하는 얘들입니다. 반드시 무복-유복일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2-3년 내에 한 번은 반드시 유무복으로 쌍을 잡는다면 문제 없이 좋은 형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글이 없습니다.
접속통계
  • 현재 접속자 341 명
  • 오늘 방문자 2,666 명
  • 어제 방문자 10,149 명
  • 최대 방문자 10,149 명
  • 전체 방문자 1,521,970 명
  • 전체 게시물 26,977 개
  • 전체 댓글수 179,323 개
  • 전체 회원수 1,383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